💯Problem Solving

[BOJ] 2178 미로 찾기

date
Aug 7, 2023
slug
boj-2178
author
status
Public
tags
Python
BOJ
summary
백준 2178번 문제풀이입니다.
type
Post
thumbnail
category
💯Problem Solving
updatedAt
Aug 7, 2023 08:41 AM

문제 링크


문제


N×M크기의 배열로 표현되는 미로가 있다.
1
0
1
1
1
1
1
0
1
0
1
0
1
0
1
0
1
1
1
1
1
0
1
1
미로에서 1은 이동할 수 있는 칸을 나타내고, 0은 이동할 수 없는 칸을 나타낸다. 이러한 미로가 주어졌을 때, (1, 1)에서 출발하여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때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한 칸에서 다른 칸으로 이동할 때, 서로 인접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.
위의 예에서는 15칸을 지나야 (N, M)의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. 칸을 셀 때에는 시작 위치와 도착 위치도 포함한다.

문제풀이


BFS를 통해 최단거리를 구하기
 
특이한점은 visited배열에 True나 False를 사용하지않고
숫자를 넣어서 현재 어느정도 이동했는지를 적어놓아야한다.
이동할 위치의 visited 배열의 값은 현재 값 + 1
 
 
101111 101010 101011 111011
가 입력으로 주어진 경우 15
1,1 ~ N, M 까지 의 거리 배열이다. 0,0은 1이 맞다. 3은 오류!
[3, 1, 9, 10, 11, 12] [2, 1, 8, 1, 12, 1] [3, 1, 7, 1, 13, 14] [4, 5, 6, 1, 14, 15]
 
파이썬 문제풀이 코드
import sys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= sys.stdin.readline 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 dx = [1, 0, -1, 0] dy = [0, 1, 0, -1] board = [] for _ in range(N): board.append([int(i) for i in str(input().strip())]) visited = [[1] * M for _ in range(N)] def bfs(): dq = deque() dq.append((0, 0)) # count = while dq: y, x = dq.popleft() # print(y, x) # count += 1 for i in range(4): ddx = x + dx[i] ddy = y + dy[i] if 0 <= ddx < M and 0 <= ddy < N: if board[ddy][ddx] == 1 and visited[ddy][ddx] == 1: dq.append((ddy, ddx)) visited[ddy][ddx] = visited[y][x] + 1 if y == N-1 and x == M-1: return visited[y][x] print(bfs())
 
시간복잡도
  • O(NM)

입력


첫째 줄에 두 정수 N, M(2 ≤ N, M ≤ 100)이 주어진다. 다음 N개의 줄에는 M개의 정수로 미로가 주어진다. 각각의 수들은 붙어서 입력으로 주어진다.

출력


첫째 줄에 지나야 하는 최소의 칸 수를 출력한다. 항상 도착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.

예제 입력


4 6 101111 101010 101011 111011

예제 출력


15
2 25 1011101110111011101110111 1110111011101110111011101
38

알고리즘 분류