💯Problem Solving
[BOJ] 1644 소수의 연속합
date
Jul 17, 2023
slug
boj-1644
author
status
Public
tags
Python
BOJ
summary
백준 1644번 문제풀이입니다.
type
Post
thumbnail
category
💯Problem Solving
updatedAt
Jul 16, 2023 05:29 PM
문제 링크
문제
하나 이상의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자연수들이 있다. 몇 가지 자연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과 같다.
- 3 : 3 (한 가지)
- 41 : 2+3+5+7+11+13 = 11+13+17 = 41 (세 가지)
- 53 : 5+7+11+13+17 = 53 (두 가지)
하지만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자연수들도 있는데, 20이 그 예이다. 7+13을 계산하면 20이 되기는 하나 7과 13이 연속이 아니기에 적합한 표현이 아니다. 또한 한 소수는 반드시 한 번만 덧셈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, 3+5+5+7과 같은 표현도 적합하지 않다.
자연수가 주어졌을 때, 이 자연수를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문제풀이
에라토스 테네스의 체를 통해서 n이하의 소수를 모두 구해주고
그 소수들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만든다.
투포인터를 사용해 첫 포인터는 0번째 인덱스
마지막 포인터는 1번째 인덱스에서 시작하게 하여
첫~마지막의 합이 n보다 작으면 마지막 포인터의 인덱스를 증가
why? 마지막 포인터를 증가시켜 만든 연속의 합은 항상 이전의 것보다 크다.
n보다 크면 첫 포인터의 인덱스를 증가시킨다.
why? 첫번째 포인터를 증가시켜 만든 연속의 합은 항상 이전의 것보다 작다.
만약 첫~마지막 합이 같으면 카운트를 하나 더해주고
첫번째와 마지막까지의 조합으로는 더이상 못하므로
두 포인터의 인덱스를 하나씩 증가시켜 다시 탐색을 시작한다.
그렇게 계속탐색을하다보면 두 포인터의 구간이 항상 n보다 큰 구간이 오게되는데
그때 두 포인터가 만나게 된다. 더이상 연속합으로는 소수를 구할 수 없다. 종료
파이썬 문제풀이 코드
N = int(input()) arr = [1] * (N+1) arr[1] = 0 def function(): #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for i in range(2, int(N**0.5)+1): if arr[i] == 0: continue for j in range(2*i, N+1, i): arr[j] = 0 function() # print(arr) prime_list = [i for i in range(2, len(arr)) if arr[i] == 1 ] # O(n) # print(prime_list) first_pointer = 0 end_pointer = 1 count = 0 if arr[N] != 1 else 1 while True: target = sum(prime_list[first_pointer:end_pointer+1]) if first_pointer == end_pointer or N <= 4: break if target < N: end_pointer +=1 elif target > N: first_pointer += 1 else: count+=1 first_pointer +=1 end_pointer += 1 print(count)
시간복잡도
입력
첫째 줄에 자연수 N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4,000,000)
출력
첫째 줄에 자연수 N을 연속된 소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출력한다.
41
3
53
2
알고리즘 분류
- 구현
- 문자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