💯Problem Solving

[BOJ] 1043 거짓말

date
Jul 7, 2023
slug
boj-1043
author
status
Public
tags
Python
BOJ
summary
백준 1043번 문제풀이입니다.
type
Post
thumbnail
category
💯Problem Solving
updatedAt
Jul 14, 2023 02:05 PM

문제 링크


 

문제


지민이는 파티에 가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한다. 파티에 갈 때마다, 지민이는 지민이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를 한다. 지민이는 그 이야기를 말할 때, 있는 그대로 진실로 말하거나 엄청나게 과장해서 말한다. 당연히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훨씬 더 재미있기 때문에, 되도록이면 과장해서 이야기하려고 한다. 하지만,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기는 싫어한다. 문제는 몇몇 사람들은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안다는 것이다. 따라서 이런 사람들이 파티에 왔을 때는, 지민이는 진실을 이야기할 수 밖에 없다. 당연히, 어떤 사람이 어떤 파티에서는 진실을 듣고, 또다른 파티에서는 과장된 이야기를 들었을 때도 지민이는 거짓말쟁이로 알려지게 된다. 지민이는 이런 일을 모두 피해야 한다.
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. 그리고 그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이 주어진다. 그리고 각 파티에 오는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. 지민이는 모든 파티에 참가해야 한다. 이때, 지민이가 거짓말쟁이로 알려지지 않으면서, 과장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파티 개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문제풀이


known_list를 먼저 정하고, 각 known_list의 people을
party에 적용시켜 known_list를 추가제작한다.
그래서 known_list에 0인 값을 not_known_list에 저장하고
 
party마다 한번더 순회를 돌아서 파티에 사람이
not_known_list에 없다면, 즉 이미 알고있다면
그 파티는 진실을 안다고 가정하여 return 0
모른다면 return 1하여
 
최소값을 저장한다.
Union-find로 푸는 방법도 있다고 하는데 이건 아직 보류
 
 
파이썬 문제풀이 코드
N, M = tuple(map(int, input().split())) known_list = [0] * (N+1) party_list = [] li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known_number = li[0] for i in li[1:]: known_list[i] = 1 for _ in range(M): party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arty_list.append(party[1:]) for _ in range(1, N+1): for known_person_idx in range(1, N+1): known_person = known_list[known_person_idx] if known_list[known_person_idx]: for party in party_list: if known_person_idx in party: for p_idx in range(len(party)): known_list[party[p_idx]] = 1 # print(known_list) not_known_list = [i for i in range(1, len(known_list)) if known_list[i] == 0] # print(not_known_list) def check_not_known_list(party): for p in party: if p not in not_known_list: return 0 return 1 count = 0 for party in party_list: count += check_not_known_list(party) print(count)
 
시간복잡도
  • O(N^4)

입력


첫째 줄에 사람의 수 N과 파티의 수 M이 주어진다.
둘째 줄에는 이야기의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주어진다.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가 먼저 주어지고 그 개수만큼 사람들의 번호가 주어진다. 사람들의 번호는 1부터 N까지의 수로 주어진다.
셋째 줄부터 M개의 줄에는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와 번호가 같은 방식으로 주어진다.
N, M은 50 이하의 자연수이고, 진실을 아는 사람의 수는 0 이상 50 이하의 정수, 각 파티마다 오는 사람의 수는 1 이상 50 이하의 정수이다.

출력


 

예제 입력


4 3 0 2 1 2 1 3 3 2 3 4

예제 출력


3
4 1 1 1 4 1 2 3 4
0
10 9 4 1 2 3 4 2 1 5 2 2 6 1 7 1 8 2 7 8 1 9 1 10 2 3 10 1 4
4

알고리즘 분류